728x90
[956회] 초고령사회 특집〈역노화 생존 공식〉3부 저작력, 뇌 노화 예방의 첨병 / 2025년 6월 25일 22:
초고령사회 특집 – 역노화 생존 공식1부. 고독력, 혼자도 잘 사는 힘2부. 근력, 늙어도 젊은 몸의 조건3부. 저작력, 뇌 노화 예방의 첨병* 방송일시 : 2025년 6월 25일(수) 밤 10시 KBS 1TV* 연출 : 안
pbbs.kbs.co.kr
■ 방송시간 (방송사 사정에 따라 수시로 변경가능)
KBS 1TV 수요일 밤 10시 00분 본
KBS 2TV 일요일 새벽 5시 00분 재
KBS 1TV 화요일 오후 2시 10분 전재
■ 출연진 출연의료진 및 감상요약 :
- 특별MC 배우 윤주상
-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구강악안면외과 황진혁 교수
- 연세대 치과대학병원 통합치의학과 정복영 교수
- 서울대 치과병원 원스톱협진센터 치주과 이정원 교수
-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구강미생물학과 김진만 교수
- 중앙대병원 신경외과 박용숙 교수
- 영국 치과전문의 니쿤즈 파텔
- 영국 에시터대 공중보건 및 스포츠과학과 조애나 라루 박사
- 일본 도호쿠대 치과대학원 노년치의학부 야마구치 사토시 교수
- 일본 고야마씨 주치의 카미무라 유스케
- 일본 치과 전문의 츠즈쿠 후미오
- 일본 치위생사 나가이 키누카
- 일본 방문진료 치과 전문의 마츠이 히로키
- 일본 노인돌봄시설 원장 나라이 카로이
- ==========================================================================
- 90대에 치아 26개가 남아 잇는 분들은 거의 없다.
씹는 행위가 없어서 뇌 혈류량이 줄어들게 되면 뇌활동이 감소하고 인지 기능이 저하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저작기능이 노인 환자의 인지 장애에 미치는 영향 (출처 :Yonsei Medical Journal 2022) : 치매그룹 자연치아가 상실된 수가 더 많았다. 치매그룹에서 상실된 치아가 방치된 경우가 많았다. - 지남력 : 현재 상황을 파악하는 능력
- 구강내 염증 치주병을 일으키는 원인균에 의해 염증이 일어나고 혈류를 타고 뇌로 가면 염증을 거기서 일으킬수 있다.
- 정량광형광검사 : 치태 및 치아 우식 상태진단
- 스케일링(치석제거술)의 목표 : 치태관리, 잇몸 사이에 있는 틈 치주낭에 있는 세균의 수를 적절하게 조절
- 씹는 힘, 저작력 과 뇌 인지 기능의 밀접한 상관관계
- 저작력 검사
-. 교합력검사 : 치아 맞물림 기능 평가
-. 저작효율 검사 : 저작 기능 효율성 평가
-. 설압검사 : 혀의 근력 측정
-. 조음교대운동검사(ODK) : 구강 운동기능 측정, 단음절 발음속도로 저작과 연하기능 평가
-. 악력 검사
-. 노쇠도 검사 - 정상압 수두증 : 뇌수의 순환의 장애. 뇌수는 뇌에 있늠 물, 정상적으로 둥둥띄워서 뇌를 보호하고 뇌에 영양도 주고 뇌의 노폐물도 빼주고 하는 역할을 함. 뇌수의 순환의 장애. 보통은 흡수가 안되기 때문이라고 보는게 일반적이다. 뇌의 가운데 액체로 채워진 공간 뇌실의 맥락청혈관에서 뇌수가 생성된다. 뇌척수액은 지주막하공간을 순환하며 영양분과 노폐물을 운반하고 압력을 분산한다.
노화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이 순환에 장애가 생기면, 압력과 노폐물 독성때문에 기저핵기관이 저하되면서 보행과 인지, 씹는 기능까지 떨어지는 치매증상을 보이는데, 이증상을 정상압 수두증이라고 한다.
환자들의 MRI를 분석한 결과 씹는 기능을 담당하는 기관 외측익돌근에 약화가 공통으로 발견된다.
즉 저작력과 인지기능의 밀접한 연관성이 확인된 것이다.
※ 맥락청혈관(脈絡叢血管)은 뇌실 내에서 뇌척수액을 생성하는 맥락총(脈絡叢)에 위치한 혈관을 의미합니다. 정확히는 뇌실막세포와 함께 맥락총을 구성하며, 뇌척수액 생성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요추-복강 단락술 : 허리에 튜브를 넣어 뇌척수액을 뱃속으로 빼내는 술
- 텍스쳐 분석 : 영상 속 질감을 수치화해서 조직의 이상 여부를 판별
MRI에서 저작을 비교해 보면 물이 많이 들어가거나 지방이 많이 들어가거나 하면 얼룰덜룩한 형태로 보인다.
얼룩덜룩해보일수록 근육이 좀 약하다.
- 치주균의 공통적인 특성은 혐기성이다.(산소를 싫어한다) 침투력이 좋다. 독소를 뿜고, 효소활성을 통해서 주변 조직 파괴, 면역작용을 교란. 혈관 벽에 죽상동맥경화를 일으킨다.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Terponema denticola)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 채소는 질산염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입안의 박테리아가 질산염을 산화질소로 전환토록 돕는다.
채소를 많이 먹으면 인지기능에 도움을 주는 나이세리아 같은 박테리아가 잘 자랄 수 있게 도와준다. - 나이세리아(Neisseria) 구강 박테리아가 사고력과 기억력을 높인다는 연관성 발견
경도인지장애 그룹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더 많이 존재
치매와 알츠하이머 고위험 요인 APOE4 유전자형을 가진 사람들의 경우 프로베텔라 인터메디아(Revotella intermedia) 박테리아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
경도인지장애와 아포지단백 E4 유전자형을 지닌 노년층의 구강 미생물군과 산화질소 바이오마커 연구(출처:PNAS NEXUS 2025, Oral microbiome and nitric oxide biomarkers in oler peol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POE4 genotype) - 6년전 미국 루이빌대학에서 알츠하이머병 사망자 뇌조직검사 90%이상 치주염균(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검출
이후 구강내세균과 인지 기능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 유사한, 함께 보면 좋은 방송 :
- 생로병사의 비밀.E929.슬로우조깅을 아십니까 20241030 ■ 출연진 출연의료진 : 규슈중앙병원(후쿠오카중심부) 뇌신경외과 전문의 마츠카도 고이치로 , 후쿠오카대 스포츠과학부 히가키 야스키 교수 , 후쿠오카대 스포츠건강과학연구과 박사과정 사토 노리코 ,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박세은 교수 , 신촌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박광환 교수 , 슬로우조깅코리아 정라혜 대표 , 한국스포츠과학원 스포츠과학연구실 연구위원 김지영 , 한국스포츠과학원 스포츠과학연구실 연구위원 박상헌
- 생로병사의 비밀.E928.일해야 안 늙는다 20241023 ■ 출연진 출연의료진 : 도쿄 건강장수연구센터 히로유키 사사이 박사 , 상명대 스포츠건강관리학과 강서정 교수 , 한양대 구리병원 재활의학과 장성호 교수 , 인제대의대 일산백병원 가정의학과 양윤준 교수 , 손내과의원 내과전문의 손경환 원장 , 아주대의대 예방의학교실 이윤환 교수 , 수원시 노인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왕지원 , 수원시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 박윤정 , 아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손상준 교수 , 일본후쿠오카 마쓰야마 니코스텝 고령자운동동호회 건강운동지도자 곤도 후끼 , 인제대의대 일산백병원 물리치료사 송태승
- 생로병사의 비밀.E906.2030세대, 가속 노화에 브레이크를 걸어라 20240424 ■ 출연진 출연의료진 :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정희원 교수 , KBS 의학전문기자 박광식 ,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가장의학과 최민규 교수 , 젠요가 대표트레이너 김광록
- 생로병사의 비밀.E893.<신년 기획> 성공 노화, 65세를 주목하라!.20240110 ■ 출연진 출연의료진 : 한림대학교 가정의학과 윤종률 교수 ,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노용균 교수 ,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정희원 교수 ,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가정희학과 김대균 교수 , 가천대 길병원 가천뇌건강센터(신경과) 신경과 박기형 교수 , 인천광역시 남동구 보건소장 조은행 , 중앙대학교 광명병원 재활의학과 김돈규 교수 , 강동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김용찬 교수 , 각당복지재단 회장 오혜련
- 생로병사의 비밀.E815.웰에이징-'젊은 그대'로 사는법.20220406
생로병사의 비밀.E789.블루존의 늙지 않는 비밀 20210901
생로병사의 비밀.E439.웰에이징 2부 <건강수명 100세 시대>.20121208
생로병사의 비밀.E438.웰에이징 1부 <노화의 비밀>.20121201
생로병사의 비밀.E042.'근육' 40%, 노화는 없다! .20031202
생로병사의 비밀.E027.노화방지를 위해 먹어야할 4가지 - 제4편 적포도주 .20030722
생로병사의 비밀.E026.노화방지를 위해 먹어야할 4가지 - 제3편 토마토.20030715
생로병사의 비밀.E025.노화방지를 위해 먹어야할 4가지 - 제2편 녹차.20030708
생로병사의 비밀.E024.노화방지를 위해 먹어야할 4가지 - 제1편 마늘.20030701 - 명의.E902.250117.신년 특집 저속 노화의 비밀 – 3부 80대에 중년의 뇌를 갖는 방법 명의소개(목동이대병원 신경과 김건하 교수)
- 명의.E901.250110.신년 특집 저속 노화의 비밀 – 2부 인간은 세 번 늙는다 명의소개(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정희원 교수)
- 명의.E900.250103.신년특집 저속 노화의 비밀 - 1부 젊게 살려면 명의처럼 명의소개(삼성창원병원 신경외과 어환 교수, 이대서울병원 비뇨기과 윤하나 교수,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채정호 교수)
- 명의.E753.220211.노화를 막는 다섯 가지 열쇠 명의소개(세브란스 가정의학과 이덕철)
명의.E189.110121.건강하게 늙는 법,노화방지의학-명의소개(세브란스 가정의학과 이덕철)
<감상평 끝>
KBS <생로병사의 비밀> 956회 초고령사회 특집 – 역노화 생존 공식
[1부. 고독력, 혼자도 잘 사는 힘 ]
[2부. 근력, 늙어도 젊은 몸의 조건 ]
[3부. 저작력, 뇌 노화의 첨병]
방송 일시: 2025. 6. 25. (수) 밤 10시 KBS 1TV
연출 : 안진, 변시연
작가 : 조용오, 이가람, 양해빈
지난해 말 기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돌파!
유엔(UN) 기준,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대한민국
누구도 피할 수 없는 노화!
긴 노후를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
젊고 건강하게
신체적, 정신적 역노화를 이루기 위해
꼭 갖추어야 할 세 가지 힘을 제안한다!
생로병사의 비밀이 준비한
초고령사회 특집 3부작
<역노화 생존공식>


제1부 고독력, 혼자도 잘 사는 힘 (6/11/수 밤 10시)
제2부 근력, 늙어도 젊은 몸의 조건 (6/18/수 밤 10시)
제3부 저작력, 뇌 노화 예방의 첨병 (6/25/수 밤 10시)
마지막 세 번째는 ‘저작력, 뇌 노화 예방의 첨병’이다.


씹는 힘, 저작력은 노년 건강의 상징이자 전반적인 삶의 질과 직결되어 있다. 최근 연구 결과, 저작력에서 비롯되는 구강 건강이 악화되면 치매 발생 위험이 3.6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씹는 힘과 인지 기능은 어떤 연관이 있을까.
<생/로/병/사의 비밀> 제작진은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고 있는 해외 연구팀들을 만나 직접 연구 결과의 의미를 확인했다.
노년층의 치아 개수와 해마 위축도의 관계를 연구한 일본 도호쿠대학교 야마구치 사토시 교수. 평균 연령 66세, 172명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른 해마의 변화를 무려 4년 동안 관찰한 연구 결과, 가벼운 치주염의 경우, 치아 수가 적을수록 해마 위축 속도가 빠르다는 걸 확인했다. 하지만 여기엔 반전이 있었다. 치주염이 심한 경우, 치아 수가 많으면 오히려 해마 위축도가 빨랐다. 어떻게 치아 관리를 해야 뇌 기억의 중추인 해마를 보호할 수 있을까?
또한, 제작진은 구강 미생물 군을 연구한 영국 엑시터대학교 연구진을 현지 취재했다. 연구팀은 구강 미생물 군 중에는 인지 기능을 좋게 하는 미생물 군과 악화시키는 미생물 군을 찾아냈는데, 6월 25일 방송되는 <생/로/병/사의 비밀>에서 6월 25일 방송되는 <생/로/병/사의 비밀>에서 이 비밀이 공개된다.
■ 94세에 자연치아 20개 이상… 비결은?


94세 동갑내기인 고야마 후지 씨와 미오 타케시 씨는 각각 자신의 자연치아를 26개, 22개 갖고 있다. 마른오징어처럼 딱딱한 음식까지 먹는 고야마 후지 씨는 고령의 나이임에도 텃밭 가꾸기나 취미활동을 즐기고 있고, 시에서 주는 ‘구강 관리 표창’까지 받은 미오 타케시 씨는 30점 만점인 인지기능검사에서 29점을 받는 등 놀라운 인지 능력을 갖고 있다. 두 어르신의 놀라운 구강 건강과 높은 인지 기능의 비결은 무엇일까?
■ 자연치아가 사라져도 관리만 잘하면 고기반찬 가능?!




자연 치아가 아니면 저작 기능을 상실하는 것일까. 85세 장덕현 씨는 2010년 동네 치과에 갔다가 치아를 모두 뽑아야 한다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구강 상태가 엉망이었지만, 자신의 치아를 지키고 싶은 일념으로 보철 치료를 꾸준히 받은 결과, 좋아하는 고기반찬을 계속 먹게 되었다. 90세 김순희 씨는 자연 치아는 없지만, 틀어진 틀니를 새로 제작한 후 병상에서 일어나 생기를 되찾게 되었다. 두 사례자와 함께, 교합력, 저작 효율, 설압, 구강 운동 기능, 노쇠 검사, 인지 기능 평가를 실시하여 구강 기능 유지 여부와 인지 기능 변화를 확인해본다.
■ 걷지도, 씹지도 못했는데… 정상압 수두증 환자의 기적!
정상압 수두증 환자인 이숙재 씨는 뇌척수액을 빼내는 수술 전후로 완전히 다른 삶을 살고 있다. 수술 전에는 걷지도, 씹지도 못했는데, 수술 후에는 천천히 걷기도 하고, 일반식 섭취가 가능해졌다. 치매와 비슷한 증상을 나타내는 정상압 수두증 환자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저작근의 변화에 대한 연구 결과를 통해, 인지 기능과 저작근의 상관 관계에 대한 증거를 찾아보고, 인지 기능과 저작력을 회복한 후 가족간의 행복도 되찾은 이숙재 씨를 만나본다.


■ 저작력과 구강 건강의 힘! 비밀은 채소 식단에 있다?!
영국에 사는 91세 마틴 펜 씨는 차나 커피 마실 때 절대 설탕을 넣지 않는다. 건강한 삶을 위해선 식단 관리는 필수라는 생각으로 매일 직접 상을 차린다. 특히 채소를 많이 먹는다. 경기도 고양시에 사는 80세 임형섭 씨는 살면서 치과 진료를 한 번도 받지 않았다. 대신 김장 소금으로 이를 닦는 등 구강 건강에 진심인 그는 유독 채소를 좋아한다.




이런 가운데 영국 엑시터대학교 조애나 라루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채소에 많은 질산염이 인지 기능에 좋은 박테리아가 잘 자랄 수 있게 도와주고, 이는 결국 뇌의 인지 기능을 유지하거나 개선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한다.
■ 초고령사회 일본에서는 어르신 건강을 정부에서 책임진다!
전세계 수많은 의사와 연구자들은 “구강 건강 관리가 전신 건강을 지키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말한다. 제작진은 이동 버스 치과 진료를 취재해 치아 상실와 인지 기능의 상관 관계를 확인해 보고, 치아 상실을 예방하기 위한 쉬운 선택, 치석제거술의 효과를 확인한다. 그리고 18년 전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일본을 찾아, 어르신들의 구강 건강에 대한 지방정부의 역할과 사례를 살펴봤다. 일본 나가노현 시오지리시 요양시설에 계신 어르신들은 구강 검진 비용이 무료다. 보호자가 시오지리시에 검진을 요청하면, 시에서는 치과의사에게 위탁하여 검진을 시행한다. 전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되는 일본은 고령자들의 구강 관리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


2025년 6월 25일 수요일 밤 10시 KBS1TV 방영하는 <생/로/병/사/의 비밀> 초고령사회 특집 3부작 - ‘저작력, 뇌 노화 예방의 첨병’을 통해 구강 건강이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짚어보고, 씹는 힘의 중요성, 구강 건강으로 노년의 삶의 질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