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이야기

EBS 명의 제 913회 〈어깨 펴고 삽시다! - 어깨 질환> 미리보기 / 2025년 4월 4일 (금) 21:55

by 현혜사랑 2025. 3. 31.
728x90

출처 : EBS홈페이지

 

EBS 명의 방송 안내 전체목록 (계속업데이트) 다시보기 바로가기

방송시간

EBS 1TV 금요일 밤 9시 55분 
EBS 1TV 일요일 밤 10시 05분 
EBS 1TV 금요일 오전 9시 35분 전재
EBS 2TV 토요일 저녁 8시 20분 

 

 

■ 유사한, 함께 보면 좋은  방송 :  생로병사의 비밀 미리보기에 넣어서 반응이 좋아 명의미리보기에도 추가함.

  

 

제 913회 〈어깨 펴고 삽시다! - 어깨 질환>

 

 

※모바일에서 지원이 되지 않는경우, 아래 영상을 참조

 

명의

<어깨 펴고 삽시다!>

- 어깨 질환

 

 

★ 의료진 링크 : 강남세브란스병원 재활의학과 박중현 교수   (귀하신 몸 출연)

 

 

- 연간 어깨 질환 환자 약 245만 명, 현대인을 위협하는 어깨 질환을 주목하라!

- 어깨가 아픈데 수술해야 할까? 명의가 제시하는 수술 없이 어깨를 회복하는 방법!

 

 

낙숫물이 댓돌을 뚫는다라는 속담이 있다.

작은 충격이 모이면 결국 큰일을 일으킨다는 뜻인데,

어깨 질환도 이와 다르지 않다.

 

어깨는 360도 자유롭게 움직이고 사용하는

관절인 만큼 불안정성 또한 높은 부위인데,

어깨에 조금씩 지속적으로 누적되는 충격이

결국 극심한 어깨 통증을 일으킨다.

 

스마트폰 과사용, 장시간 모니터 보기, 운동 부족 등

현대인의 잘못된 자세와 습관은 몸의 중심을 무너뜨리고,

무너진 몸의 중심은 여러 어깨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건 바로 수술이다.

어깨 통증, 수술하지 않고 회복할 수는 없을까?

이에 재활의학과 명의는 자세와 운동만으로

수술 없이 어깨를 회복할 수 있다라고 말한다.

 

더 늦기 전에 올바른 자세 운동으로

어깨 건강의 골든타임을 지키는 방법!

명의에서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 방송 일시 : 2025 4 4 ()  9 55, EBS1

 

 

오십견, 굳어가는 어깨를 다시 살리는 방법은?

도배일 8, 이후 편의점 운영 12. 60대 여성은 20년여간 끝없이 바르고, 칠하고, 상품을 들고, 나르고, 진열하는 등 어깨를 많이 사용하는 일을 하며 열심히 살아왔지만, 최근 5년 동안 어깨 통증 때문에 팔을 마음대로 쓸 수 없게 되었다. 평소 옷이나 속옷을 입으려 팔을 돌릴 때, 찬장에 있는 접시를 꺼내려 머리 위로 팔을 올릴 때 통증이 발생한다. 특히 밤에는 팔을 잘라버리고 싶을 정도로 고통스러워 잠을 설치고 있다. 통증의 원인은 오십견으로, 오십견은 어깨 관절을 싸고 있는 얇은 주머니에 염증이 생기고 굳는 질환으로 유착성 관절낭염이라고도 불린다. 오십견의 주된 증상은 관절이 얼어붙은 듯 위아래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통증과 함께 가동 범위가 줄어들기 시작한 그녀의 어깨, 과연 굳어가는 어깨를 다시 살릴 수 있을까?

 

어깨 건강을 지키며 육아하는 방법

60대 초반의 한 여성에게는 얼마 전부터 새로운 행복과 고통이 함께 찾아왔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23개월 쌍둥이 손주들이 생겨 황혼 육아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손주들을 챙기며 정신없는 시간이 지나고 나면, 이후에 통증이 한꺼번에 몰려오게 된다. 바쁜 자녀들에게 내색하고 싶지 않았지만, 통증 때문에 잠을 못 이루는 밤이 늘어나며, 결국 그녀는 손주들을 위해서도 건강해야겠다는 마음에 병원을 찾았다. 그녀의 병명은 어깨충돌증후군 오십견’. 점점 무거워지는 아이들을 드는 동작을 반복하며 어깨의 견봉 하 공간이 점점 좁아지고, 마찰로 인해 그 안의 구조물들이 손상되어 상태가 점점 악화하는 것이다. 심해지는 통증으로 힘들지만, 그렇다고 육아를 포기할 수는 없는 일. 육아와 어깨 건강을 모두 지키는 방법은 없을까?

 

어깨 재활의 골든타임은 바로 지금!

어깨 질환의 핵심은 바로 소 잃기 전에 외양간을 고치는 것이다. 각자의 어깨 문제로 병원을 찾은 70대 부부. 아내는 1년 전 넘어지며 어깨가 골절되어 수술을 받았고, 아픈 아내 대신 1년간 직장 일과 함께 집안일을 도맡아 하던 남편 역시 갑자기 어깨 통증이 시작되었다. 아내는 6주 정도 깁스를 하고, 이후 5개월간 회복하는 시간을 가졌다. 하지만 뼈는 잘 붙었는데, 열중쉬어 자세가 되지 않고, 왼쪽 어깨가 90도 이상 올라가지 않았다. 뼈가 아물도록 고정하는 과정에서 다치지 않은 근육과 힘줄, 관절낭 같은 부분이 딱딱하게 굳었기 때문이다. 한편, 남편은 열중쉬어 자세와 더불어 45도 정도의 특정 각도에서 팔을 올리는 동작이 잘되지 않았다. 이들에게 공통으로 제시된 치료 방법은 운동’, 어깨는 더 늦기 전 질환에 맞는 운동을 통해 재활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깨 재활의 골든타임, 명의와 함께 어깨 건강을 지키는 방법을 알아보자.

 

명의 <어깨 펴고 삽시다! -어깨 질환> 편에서는 평생 수술 없이 자세 운동만으로 어깨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본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