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이야기

EBS 명의 제 871회 〈얼굴 통증과 떨림 멈출 수 있을까?〉 미리보기 / 2024년 06월 07일 (금) 21:55

by 현혜사랑 2024. 6. 3.
728x90

출처 : EBS홈페이지

 

EBS 명의 방송 안내 전체목록 (계속업데이트) 다시보기 바로가기

방송시간

EBS 1TV 금요일 밤 9시 55분 
EBS 1TV 일요일 밤 10시 05분 
EBS 1TV 목요일 오후 12시 10분 전재

 

 

■ 유사한, 함께 보면 좋은  방송 :  생로병사의 비밀 미리보기에 넣어서 반응이 좋아 명의미리보기에도 추가함.

  

 

제 871회 〈얼굴 통증과 떨림 멈출 수 있을까?〉

 

※모바일에서 지원이 되지 않는경우, 아래 영상을 참조.

 

명의

얼굴 통증과 떨림 멈출 수 있을까?

 

 

★ 의료진 링크 :  은평성모병원 신경외과 주원일 교수

 

- 갑작스러운 얼굴 통증으로 양치질과 세수, 식사조차 어려워졌다면 이 질환을 의심하라!

- 단순 피로로 생긴 줄 알았던 눈꺼풀 떨림이 몇 주 동안 지속된다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이것’!

 

 

갑자기 벼락 맞은 듯 강하게 찾아오는 얼굴 통증,

이유 모르게 시작된 얼굴의 떨림 증상,

혹시 뇌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닐까?’ 하는 걱정이 들기 시작한다.

 

대표적인 안면 질환으로 꼽히는 삼차신경통 안면경련’.

삼차신경통의 증상은 얼굴을 칼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

수초에서 수분 정도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단순 피로로 인한 눈 떨림인 줄 알았는데

몇 주가 지나도 얼굴 떨림 증상이 지속된다면

안면 경련을 의심해야 한다.

 

이 질환들은 특히나 얼굴에 발생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 대화하고 눈을 맞추거나

얼굴을 마주 보는 일조차 두렵게 만든다.

결국 대인기피증과 우울증 등 마음의 병까지 생겨

사회생활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환자들도 많다.

 

얼굴의 통증과 떨림, 완치할 수 있을까?

멈추고 싶어도 계속 떨리는 얼굴,

스치기만 해도 벼락처럼 아픈 얼굴 과연 완치할 수 있을까?

명의와 함께 대표적인 안면 질환으로 꼽히는

삼차신경통과 안면경련에 대해 알아보자.

 

* 방송 일시 : 2024 6 7 ()  9 55, EBS1

 

 

삼차신경통에서 해방될 수만 있다면

지금 소원은 한 가지밖에 없어요. 삼차신경통에서 해방되는 것.” 얼굴의 통증으로 인해 양치질도 면도도 식사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60대 남성은 이제 자신의 얼굴을 만지는 것조차 두렵다. 그를 25년 동안 고통스럽게 한 질병은 바로 삼차신경통, 이 고통으로 더 이상 일할 수 없게 되어 직장도 그만두고 힘겹게 살아가고 있다. 그를 괴롭힌 삼차신경통이란 무엇일까? ‘삼차신경은 신경이 세 개의 가지로 나뉘어 삼차신경이라 불리며, 12쌍의 뇌신경 중 가장 큰 신경으로 우리 얼굴의 감각을 주로 담당하고 있다. 뺨과 코, 아래턱과 입, 이마에 뻗어 있는 삼차신경이 주변 혈관으로 인해 눌릴 경우, 상상조차 할 수 없는 통증이 순간적으로 발생한다. 약조차 들지 않아 고통스러운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는 환자, 과연 삼차신경통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을까?

 

얼굴 떨림, 뇌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닐까?

언젠가부터 눈가가 조금씩 떨리기 시작했다는 70대 여성. 지금은 떨림이 심해져서 가끔 사람들과 대화하거나 책을 볼 때도 떨리는 얼굴을 부여잡아야 할 정도다.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얼굴의 근육이 움직이고 눈이 찌그러지는 것 같은 환자의 증상은 반측성 안면경련’. 부분 눈 아래쪽 떨림에서 시작하여 강도가 심해지면서 볼로 내려오고, 더 심해지면 입가까지 경련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안면경련이 심해지면 눈을 뜨기 힘든 상태에까지 이를 수 있어 더 치명적이다. 얼굴이 떨리기 시작하면 일에 집중하기 힘들어지고,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자신감이 떨어지고 위축될 수밖에 없다. 얼굴 떨림 증상은 왜 발생하는 걸까? 혹시 뇌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닐까? 어떻게 하면 얼굴 떨림을 멈출 수 있을까?

 

뇌수술, 그래도 해야 할까?

누구에게나 뇌수술은 부담스럽다. 뇌를 열어서 수술하기 때문에 합병증이나 평생의 장애라는 후유증이 생길까 하는 두려움 때문이다. 얼굴 근육을 조절하는 7번 뇌신경은 얼굴의 주요 기능을 담당해 안면 신경이라고도 불린다. 이 신경이 주변 혈관에 의해 눌려 증상이 심해질 경우 뇌수술이 불가피해질 수 있다. 반측성 안면경련을 겪고 있는 40대 남성은 두려움을 무릅쓰고 미세혈관 감압술을 받기로 결심했다. 아직 나이도 젊고 사회생활도 해야 하기에 얼굴의 떨림을 완치할 수 있는 근본적인 치료를 받고 싶기 때문이다. 완치해서 세상 앞에 당당히 나서고 싶은 마음으로 수술대에 오른 남성, 수술을 선택한 게 옳은 결정이었을까? 수술 후 후유증은 없을까? 안면경련의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질병과 치료 방법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명의에게 들어보자.

 

명의 <얼굴 통증과 떨림 멈출 수 있을까?> 편에서는 대표적인 안면 질환인 삼차심경통과 안면 경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