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이야기

미리보기 KBS 생로병사의 비밀 [912회] 생로병사의 비밀 중독 3부작 - 질병코드 F10, 나는 알코올 중독입니다 / 2024년 06월 12일 22:00 방송

by 현혜사랑 2024. 6. 12.
728x90

출처 :  https://pbbs.kbs.co.kr/clip/read.html?bbs_id=T2002-0429-04-185153&id=1371017&post_no=252&page=1&post_header=&sort_order=01

 

[912회] 생로병사의 비밀 중독 3부작 - 질병코드 F10, 나는 알코올 중독입니다 / 2024년 06월 12일 22:00

생로병사의 비밀 중독 3부작질병코드 F10, 나는 알코올 중독입니다 방송 일시: 2024. 6. 12 수요일 밤 10시 / KBS 1TV연출: 김은곤 / 작가: 김해연, 배해주중독 (Addiction, 의존증) : 뇌의 조절능력을 상실

pbbs.kbs.co.kr

 

 

생로병사의 비밀 전체목록보기

 

 방송시간 (방송사 사정에 따라 수시로 변경가능)
KBS 1TV 수요일 밤 10시 00분 
KBS 2TV 일요일 새벽 5시 00분 
KBS 1TV 화요일 오후 2시 10분 전재

 

■ 출연진 출연의료진 및 감상요약  :  

  • 한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노성원 교수  
  • 한양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윤아일린 교수  
  • 한양대학교병원 임상심리전문가 차윤지  
  • 보건복지부지정 알코올질환전문병원  
  • 다사랑중앙병원(의왕) 내과 전용준 원장  
  •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대진 교수  
  • 춘천성심병원 소화기내과 석기태 교수  
  • 알코올중독은 만성재발성 뇌질환 이다.
    특수중추신경회로 보상회로 (쾌락중추) : 술을마셔 보상회로가 자극되면, 쾌감을 느끼게 해주는 신경전달물질 도파민이 과도하게 분비된다. 신경변화가 생긴 경우 중독이 진행. 전전두엽(우리 뇌에서 가장 중요한 관제탑역할, 하고 싶은 하지 않고 참아내고, 계획을 세우고 실행을 하는 등)까지 침범. 조절능력에 장애 발생
  • 술은 신경계를 억제한다. 단주하면 자율신경계가 항진된다.
    단주후 아캄프로세이트(항갈망제)  가려움증을 멈추는약이라든지 약물없이는 불가능하다
  • 알코올 중독의 근거  : 1. 음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다. 2. 주변 사람들로부터 지적을 듣는다. 3. 조절이 안된다.
  • Y세대 , 다른 세대에 비해 스트레스를 받거나 우울할 때 음주(출처:세대별 한국여성 월간음주자의 음주문화, 손애리)
  • 알코올  간에서  (ADH1B효소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 (ALDH2효소에 의해) 아세트산으로 분해되어 몸밖으로 배출. ADH1B 효소가 자체적으로 많이 생성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알코올 중독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알코올 분해가 잘되는 사람일 수록 알코올 의존증에 걸린 가능성이 높다.

 

■ 유사한, 함께 보면 좋은  방송 :  

 

 

<감상평 끝>

 

KBS <생로병사의 비밀> 912회 생로병사의 비밀 중독 3부작

[질병코드 F10, 나는 알코올 중독입니다  ]

 

 
방송 일시: 2024. 6. 12. 수요일 밤 10시 KBS 1TV
연출 : 김은곤
작가: 김해연, 배해주
 
 
 
 


중독 (Addiction, 의존증) : 뇌의 조절능력을 상실한 질병
 
알코올, 담배, 마약과 같은 유해 물질 남용으로 신체적 의존(physical dependence)뿐 아니라 심리적 의존(psychological dependence)이 생겨 뇌의 조절능력을 상실한 질병을 “중독 (Addiction, 의존증)”이라 부른다. 생로병사의 비밀에서는 3대 물질 중독이라 불리는 <알코올, 담배, 마약>에 대해 중독 3부작을 준비했다. 그 첫 편인 <알코올 중독>은 6월 12일 밤 10시 KBS 1TV에서 방영될 예정이다. 
 
 
 
중독 3부작 1부 <질병코드 F10, 나는 알코올 중독입니다>
 
 
 

 

 

알코올 중독은 <질병코드 F10>으로 분류되어 있는 질병이다. 1980년대 뇌과학이 발달하면서 인간의 뇌에도 쾌락 중추라고 알려진 보상회로가 발견되고 도파민이 중독 질환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게 밝혀지면서 알코올 중독은 치료가 필요한 뇌질환이라는 인식으로 변화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0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에서 음주로 인해 사망하는 사람이 매일 14명, 음주 관련 사회경제적 비용은 10조 원을 육박했다. 언제 어디서든 술을 구입할 수 있는 24시간 편의점, 술과 안주를 시킬 수 있는 편리한 배달 음식, 유명인들이 펼치는 각종 술방의 모습들에서 우리는 음주에 관대한 대한민국의 현주소를 찾아볼 수 있다. 
 
 
 
■ 치료의 시작 “나는 알코올 중독입니다”
 
 
 
 
 

“나는 애주가일 뿐, 알코올 중독이 아니다” 제작진이 만난 알코올 의존 환자들은 공통적으로 스스로의 병식에 대해 부인했다. 이른바 도덕적 결함이나 개인 의지의 문제로 치부했던 부정적인 과거 인식을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에 적극적인 치료를 거부했다. 본인의 알코올 의존 문제를 인식하고 고백하는 순간 치료는 시작된다. 
 
명문대 졸업, 번듯한 직업... 술도 이겨야 될 경쟁이라고 생각했다는 김영민 씨(35).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그에게 안도감을 주는 건 술이었다. 음주 문제로 알코올 전문병원에 강제 입원하는 과정에서도 의료진의 치료 행위나 식사를 거부할 정도로 반감이 심했던 그는 자신의 중독 문제를 인식하고 사회로 복귀할 재활 훈련을 하고 있다.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을 통해 익명의 술모임을 주도하는 최지연 씨(35)는 매번 술자리에서 기억을 잃는다. 부분적으로 끊기던 필름이 통째로 날라가는 이른바 ‘블랙아웃’이 시작된 것. 그러나 여전히 그녀는 스스로를 애주가일 뿐, 중독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번듯한 직장에서 사회생활을 잘하고, 멀쩡해 보이는 사람도 알코올 중독일 수 있다. 이를 고도 적응형 알코올 중독이라고 부른다. 일상생활에 큰 문제 없이, 음주에 관대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점점 술에 의존하는 당신. 적절한 음주 치료나 음주 패턴의 변화 없이 음주가 계속될 경우 중증 알코올 중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알코올 중독, 골든타임은 언제일까? 
 
 
 
 
 
■ 알코올 중독, 끊어낼 수 있을까?
 
 
 
 

“알코올 중독 환자 만 명 중 한 명만이 평생 단주에 성공한다고 합니다” 알코올 전문병원 재활병동에서 출퇴근하는 김재겸 씨(51)는 1년째 병원 치료를 받고 있다. 하지만 그는 언제든 술에 노출될 수 있는 사회로 나가기에 걱정이 앞선다.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다시 중독 시절로 돌아갈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경기도에 위치한 알코올 전문병원의 치료 과정은 <관리병동 – 개방병동 – 재활병동> 3단계로 이뤄져 있다. 알코올 중독을 부정하는 초기 단계에선 외부와의 노출이 차단되는 관리병동으로, 병식을 갖고 스스로 제어가 가능한 환자들은 관계자 허락하에 외출이 가능한 개방병동으로, 술 있는 사회로 복귀를 준비하는 환자들은 재활병동으로 치료를 이어간다. 생로병사의 비밀은 각 병동에 입원한 환자들을 만나 치료 과정의 인식 변화 과정을 면밀히 관찰했다. 
 
 
 
 
■ 중중 알코올 중독에서 50일 단주에 이르기까지
 
 
 
50일 단주(6.10 기준)에 성공한 김민성 씨(40)
 
40일 단주(6.10 기준)에 성공한 박준영 씨(49)


과연 알코올 중독은 치료가 가능할까? 제작진은 제작 초기 3주간 진행할 단주 프로젝트 사례자를 공개 모집했다. 수차례 알코올 전문병원 입원 치료를 받았지만 여전히 중독에 빠져 있던 김민성 씨(40)와 간암 시술을 받았음에도 술 없이 잠을 이루지 못하는 박준영 씨(49). 제작진은 한양대병원 노성원 교수 의료진과 협업해 치열한 3주의 단주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무기가 많으면 많을수록 좋죠. 상담치료든 약물치료든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단주에 성공할 수 있다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거라고 기대합니다” - 노성원 교수 
 
 
 
3주 프로젝트를 시작하기에 앞서 김민성 씨와 박준영 씨는 알코올 유전 요인 검사를 실시했다. 검사 결과 두 사례자 모두 알코올 분해 효소가 높은, 이른바 숙취가 없는 알코올 중독 고위험군에 속했다. 한양대병원 노성원 교수 의료진은 3주에 걸쳐 주 2회 상담치료와 디지털 치료, 약물치료를 병행했다. 제작진은 두 사례자의 일상을 매일 영상으로 담는 과제를 진행했고, 성실하게 치료 과정을 수행한 두 사례자는 3주 단주 프로젝트를 무사히 완주할 수 있었다. 3주 프로젝트 후 놀라운 결과가 나타났는데 방송을 통해 검사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 알코올 중독 완치 판정 기준은 “평생”입니다
 
 
 
 
 

생로병사의 비밀 스튜디오에 특별한 게스트가 초대됐다. 15년 알코올 중독 투병 끝에 6년 전 단주에 성공한 김슬기 씨. 6년 단주 기간이면 알코올 중독 완치 판정을 낼 수 있냐는 MC 질문에 한양대병원 노성원 교수는 “평생”이라고 단언했다. 10년 단주자도 한 잔의 술이 트리거가 돼 응급실에 오는 경우가 많기에 재발률이 굉장히 높은 질병, 알코올 중독. 과연 알코올 중독을 현명하게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까? 6월 12일 수요일 밤 10시. 생로병사의 비밀 <질병코드 F10, 나는 알코올 중독입니다> 편에서 알코올 중독의 원인, 치료 과정 그리고 치료 후 관리에 대해 짚어볼 예정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