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908회] 1형 당뇨인 율아의 소망 / 2024년 05월 15일 22:00 방송
생로병사의 비밀 가정의 달 기획<1형 당뇨인 율아의 소망> 당뇨병엔 2가지 종류가 있다. 그중 하나인 1형 당뇨병은 췌장의 베타세포가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파괴되어 인슐린 분비 기
pbbs.kbs.co.kr
■ 방송시간 (방송사 사정에 따라 수시로 변경가능)
KBS 1TV 수요일 밤 10시 00분 본
KBS 2TV 일요일 새벽 5시 00분 재
KBS 1TV 화요일 오후 2시 10분 전재
■ 출연진 출연의료진 및 감상요약 :
- 서울대학교여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내분비대사) 이영아 교수
- 서울대학교여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내분비대사) 신충호 교수 (대한소아내분비학회 고문)
- 서울대학교어린병원 영양사 김지영
-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간호사 구민정
- 세브란스병원 당뇨병센터 내분비내과 차봉수 교수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
- 세브란스안과병원 변석호 교수
-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강은석 교수
-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문선준 교수
-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재현 교수
-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연구강사 김지윤
- 일본 국립국제의료연구센터 당뇨병내분비대사과 고다니 노리코 교수
- 당뇨병성 케톤산증 : 1형 당뇨병의 급성 응급상황, 인슐린이 없어 포도당대사가 일어나지 않아, 지방산분해로 인해 케톤대사가 일어나며, 케톤대사에 의해 케톤산이 발생되어 과호흡,혈관확장 상태를 유발함. 삼투성 이뇨, 탈수 상태가 되면서 저혈량 쇼크가 올 수 있다.
- 혈당스파이크가 덜일어나도록 식이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됨.
- 성장호르몬은 혈당을 올린다.
- 인슐린펌프, 다회주사...원할하게 할 수 있도로 교육 필요
- 연속혈당측정기 와 연동하게 손쉽게 혈당을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이 있다. 건강보험지원 확대필요. 현재는 소아만 지원된다. 디지털 펜(0.1단위로 인슐린 주입 양 조절, 연속혈당측정기 연동 인슐린 주입량 계산, 주입량 자동기록), 인슐린 펌프(연동형), 인공췌장
■ 유사한, 함께 보면 좋은 방송 :
- 생로병사의 비밀.E891.당뇨 비만 디지털 치료법.20231220 ■ 출연진 출연의료진 :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조재형 교수 ,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분과 최형진 교수 , 서울대 의대 비만 프로젝트팀 (이설하, 이형진, 노현영) , 서울시 북부병원 노인병클리닉 과장 김무영 , 비대면 운동프로그램 개발자 리브라이블리 대표 지창대 , 이광희 운동지도사 , 노태호바오로내과의원 순환기내과 전문의 노태호 (전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 미국 Patch형 실시간 ECG(electrocardiogram) 모니터링 업체 Vivalink 심장내과 전문의 닐 스탁슨(Neil Starkson), 생산팀장 매리얼 파브로(Mariel Fabro), 총괄책임 애론 팀(Aaron Timm)
- 생로병사의 비밀.E297.파멸의 전주곡, 젊은 당뇨를 잡아라! 20090723
<감상평 끝>
KBS <생로병사의 비밀> 908회
[가정의 달 기획 - 1형 당뇨인 율아의 소망 ]
방송 일시: 2024. 5. 15. 수요일 밤 10시 KBS 1TV
연출 : OOO
작가: OOO
취재 작가: OOO
![](https://blog.kakaocdn.net/dn/x04h6/btsHoqQArF6/poBKXomM3JLlX0q6y8F211/img.png)
당뇨병엔 2가지 종류가 있다. 그중 하나인 1형 당뇨병은 췌장의 베타세포가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파괴되어 인슐린 분비 기능이 상실된 질병이다. 인슐린 분비 기능 저하, 인슐린 저항성에서 비롯된 2형 당뇨병과는 발생하는 원인이 다르다. 문제는 베타세포의 손상은 회복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1형 당뇨인은 평생 인슐린을 공급받아야 생명 유지를 할 수 있다.
올해 1월 태안군, 1형 당뇨병을 관리하던 아이와 일가족이 스스로 세상을 등지는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졌다. 1형 당뇨 환자 딸을 여러 해 돌보던 중 경제적 어려움을 유서에 남겼다고 한다. 그리고 올해 2월, 세종에 사는 8살 율아는 아빠와 함께 1형 당뇨인의 현실을 알리기 위해 세종에서 서울까지 170km를 걸었다. 율아와 아빠가 알리고자 했던 1형 당뇨인의 현실은 무엇일까? 5월 15일 (수) KBS1TV 생로병사의 비밀 가정의 달 기획 <1형 당뇨인 율아의 소망> 편에서 그 소식을 전한다.
![]() |
![]() |
■ 1형 당뇨병은 어떠한 병인가?
혈당 조절 기능이 상실된 1형 당뇨병 환우, 음식을 먹고 인슐린 주사를 맞지 않으면 혈당이 빠르게 오르며 고혈당 상태가 되고, 활동을 하거나 에너지를 쓰면 저혈당에 빠지기 쉬워진다. 그래서 하루에도 몇 번씩 인슐린 주사를 맞고, 어떤 때는 반대로 저혈당 간식을 섭취하며 혈당을 24시간 점검하며 관리해야 한다.
하지만 5만 7천여명의 1형 당뇨인들은 ‘생활 습관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 ‘운동 부족으로 인한 것이 아닌가’ 등의 오해가 섞인 반복적인 질문 속에 자신들 상황을 설명하기에도 지쳐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한당뇨병학회 차봉수 이사장은 1형 당뇨병, 나아가 넓게는 당뇨병을 어떤 결함으로 바라보는 시각부터 바뀌어야 한다고 전한다.
![]() |
![]() |
■ 1형 당뇨병이 소아청소년들에게 많은 이유, 그리고 관리의 어려움
성인과 또 다르게, 소아청소년 1형 당뇨인들은 신체적 변화와 정신적 변화가 시시각각 달라지기 때문에 혈당 관리가 더욱 어려워진다. 소아기의 감염, 청소년기의 호로몬의 급격한 변화는 1형 당뇨병 발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친구과 어울리는 가운데 인슐린 주사를 맞는 것이 부담스러워 화장실에서 몰래 주사를 맞으며 숨기는 경우도 있다. 사춘기 시절 방황과 좌절감 속에, 아예 인슐린 주사를 맞지 않고 혈당 관리를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소아청소년기 1형 당뇨인들에게 학교와 친구들의 이해와 공감이 절대적으로 아쉬운 상황이다. 이러한 사회 상황에 대해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신충호 교수는 소아청소년의 1형 당뇨병은 ‘배려’라는 철학 속에 사회적 공감대를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 |
![]() |
■ 혈당 관리 의료기기를 활용하며 일상을 찾은 1형 당뇨인, 그리고 시스템의 한계
성인에게도 1형 당뇨병은 발병한다. 어느 날 인슐린 분비 기능이 상실됐다는 청천병력 같은 진단을 받은 조일정씨, 하지만 그녀는 이제 연속혈당측정기(센서)와 연동된 인공 췌장 시스템 덕분에 일상이 많이 자유로워졌다.
실시간으로 혈당을 확인하며 관리할 수 있는 연속혈당측정기(센서)는 불과 7년 전인 2017년에 국내에 처음 들어왔다. 그것도 1형 당뇨병 환자인 아들을 위한 엄마의 불법 해외직구를 통해서였다. 이후 센서 연동형 인슐린 펌프와 인공 췌장 시스템까지 도입되며 혈당 관리가 훨씬 더 편리해졌다. 그러나 보급률은 미미한 편이며 1형 당뇨인들은 이에 대한 절박한 아쉬움을 토로한다. 그 보급률이 낮은 이유는 무엇일까?
![]() |
![]() |
■ 혈당 관리 의료기기 보급과 교육 시스템의 필요성
1형 당뇨병은 생애주기에 따라 혈당 관리에 대한 교육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성장호르몬이 왕성한 소아청소년기와 성인기의 혈당 관리 방법이 다르다. 꾸준히 교육 받으며 혈당 관리를 해야 하지만 우리나라 교육 여건은 충분하지 않다.
10대 때 1형 당뇨병을 진단받은 정담빈 씨는 최근 인공 췌장 시스템을 체험했다. 병원 입원을 통해 인공 췌장 시스템을 활용한 혈당 관리법에 대해 교육받았다. 식단과 연동된 병원 관리 및 세밀한 교육 덕분에 담빈 씨는 저혈당 비율이 11%에서 1%로 줄었다. 누구나 제대로 된 교육과 관리를 받는다면 얼마든지 혈당 상황이 좋아질 수 있다.
혈당 관리만 잘하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1형 당뇨병. 170km를 걸어 온 율아와 아버지도 더 나은 혈당 관리 시스템 환경이 만들어지고 사회적 시선이 바뀌길 소망한다. 5월 15일(수) 밤 10시 KBS 1TV 생로병사의 비밀 가정의 달 기획 <1형 당뇨인 율아의 소망> 편에서 1형 당뇨인들의 간절한 꿈을 소개한다.
728x90
반응형
'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리보기 KBS 생로병사의 비밀 [909회] 돌연사를 막아라! 비후성 심근증 / 2024년 05월 22일 22:00 방송 (136) | 2024.05.21 |
---|---|
EBS 명의 제 868회 〈젊어서 무서운, 유방암〉 미리보기 / 2024년 05월 17일 (금) 21:55 (208) | 2024.05.13 |
EBS 명의 제 867회 〈당신은 잘못 자고 있습니다〉 미리보기 / 2024년 05월 10일 (금) 21:55 (208) | 2024.05.08 |
미리보기 KBS 생로병사의 비밀 [907회] 지피지기 백전백승 약물 알레르기 / 2024년 05월 08일 22:00 방송 (178) | 2024.05.08 |
EBS 명의 제 866회 〈지긋지긋한 어깨 통증, 해방의 열쇠는?〉 미리보기 / 2024년 05월 03일 (금) 21:55 (292) | 2024.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