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기 이야기

[Wifi 인터넷 업그레이드] 아이피타임 iptime A3004NS-M 로 Easy Mesh 이지메시 구성하고 Netflix 넷플릭스 보자

by 현혜사랑 2022. 7. 1.
728x90

[Wifi 인터넷 업그레이드] 아이피타임 iptime A3004NS-M 로 Easy Mesh 이지메시 구성하고 Netflix 넷플릭스 보자. with 1000base-T Switch H6008-IGMP

간만에 포스팅한다. 코로나-19 때문일까.. 가만히 집에서 사색이 잠길때가 많으니, 집안에서 할수 있는 일들이 보이고, 이것저것 집안일이 늘어난다.

사실 집에서 넷플릭스를 보지는 않았다. 우리집 스마트TV LG 47LA6900의 경우 넷플릭스 App이 없다. 심각하게 Apple TV를 구입할까 고민했던 적도 있다.

그래도 스마트폰에서 nPlayer를 통한 미러링을 주로 사용해서, 그나마 스마트해질려고 노력은 한다.

얼마전 친구로 부터 MU (Multi-User) 기능이 있는 공유기와 그렇지 않은 공유기의 차이점에 대한 글을 공유해서 읽은적 있다. https://minereu.tistory.com/28

그때는 무심코 넘겼었다. "앱업데이트할때 느리다". "가족들이 동시에 스마트폰 할때 느리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시간 대략 17:00~22:00 특히 더 그런것 같다.

인제 인터넷이란 용어보다는 와이파이라는 말이 더 친숙하다. 와이파이 없는 세상을 상상해본적이 있는가? 무제한요금제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겐 별 필요없을수도..

최근, 가족집에 공유기를 설치해주었다. 최근에 본글도 있고 해서 멀티유저기능이 있는 iptime A604G-MU 모델을 쿠팡와우로 주문하니 다음날 새벽에 배달되는 경이로움을 맛봤다. 설치를 하는 중에 2.4Ghz와 5Ghz 주파수 대역에 동일 SSID를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설정이 있다. (2.4/5GHz 통합사용) 그런데, 이 모델은 왠지 안된다. 일단 일정도 바쁘고 해서, 그냥 빠르게 설치해주고 테스트 해보았다. MIMO-MU 방식이 어떠한지 궁금했었다. 여러명이 동시에 사용해도 과연 MU 기능 때문인지 속도도 잘나오고 괜찮았다.

후일, 관련 기술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았다. iptime Easy Mesh !

용어적인 분석부터 Easy Mesh 이지 메시 : 원래 Mesh 라는 것은 네트웍에서 쓰는 용어로... Full Mesh Switch라고 하면 내부적으로 모든 포트가 1:1로 연결된다것이고. 고속 Switching이 가능하여 매우 고가라는 것을 의미한다. iptime 이 내놓은 Easy Mesh라는 기술은 비슷 의미이기는 한대, 여러대의 공유기를 묶어서 한대의 공유기 처럼 한다. 뭐 이런 Concept이다. 흔히,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사용하는 AP 들은 Controller가 있고, 하위에 AP들이 있는 구조여서 Roaming이 되며, 이동중에 끊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Wifi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당연히 기술력이 들어가고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종전의 Enterprise 환경 AP 들은 그럼에도 2.4Ghz와 5Ghz 별도의 SSID를 부여했다. 일반적으로 2.4Ghz는 802.11n을 5Ghz 는 802.11ac 기술 지원.

근데, Easy 아닌가... 싸고 쉽게 구성할 수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iptime의 역사가 그러했듯. 물론 최근 가격을 보면 그리 싸지는 않지만.

요약하면, 2.4G 와 5G 통합하고, 여러대의 공유기를 단일 SSID 로 보이게 해준다는 얘기다.

이를 위해서는 Controller 역할을 하는 공유기가 있어야 한다. A604G-MU Controller기능이 없다. 그래서 단독으로는 2.4/5 통합사용이 안되는 것이었다.

Easy Mesh Controller 지원하는 최하 사양이 A3004NS-M 라고 보면 된다. (아래 표참조)

Easy Mesh를 구성해보고 싶어도 지나친 소비는 원치 않았다. 그런데, 우리집 원래 공유기 A1004NS 도 펌웨어 업데이트 하면 Easy Mesh 가 지원된다한다. 그럼.해보자. 바로 이대목에서 지름신이 창궐했다.

공유기별 이지메시 지원여부 (출처:iptime홈페이지 아래 펌웨어업데이트 게시글참조)

스위칭허브 업그레이드 가정에 원래 인입되는 인터넷이 아무리 빨라봐야 100base-T 밖에 안될테지만, 스위치허브가 좋으면 그만큼 지연시간이 줄어든다.

※ iptime의 명명법... 숫자가 네자리면 1000base-T(기가비트인터넷 1Gbps) 지원 A604G-MU 는 세자리니깐 .. 유선은 100base-T(100Mbps) 지원 맨뒤의 4는 4포트짜리라는 것. 맨앞의 숫자는 Grade이다. A는 Access Point의미 H는 허브를 의미

※ 1Gbps 뜻? 1Giga bit per second로 1초에 1기가 개의 비트가 지나간다. (이론적으로 =1024000000 bit / second = 125MByte/second , 8bit가 모이면 1Byte가 된다. 컴퓨터에서는 1K=1024 임)

원래 스위치허브 H508 8포트100base-T 허브 그간 고장없이 잘사용했다. 세월에 흔적이 많이 보이네, Retire~!

1000base-T지원하고, IGMP loop해결기능이 있는 8port짜리 H6008 통신함에 자리하고 있다. H508대신 자리

깔끔하게 스위칭허브 바꿔줬다. 인제 이지메시 구성을 해야한다.

반응형

Easy Mesh 를 이용하려면 위에서 말한대로 Controller 가 있고, Agent기능을 하는 공유기의 Set으로 구성해야하는데, 내가 가지고 있던 A1004NS (AP 이고 1000base-T를 지원하고 Network Server기능(USB하드 연결하면 NAS처럼 쓸수 있다)제공) 는 무선에이전트는 지원 안되고 오로지 유선에이전트만 지원한다. 따라서, 둘간의 연결은 UTP로 해야한다는 것이다. 유선연결할때 Agent가 되는 공유기의 업링크(인터넷 연결하는 곳) 이 아닌 허브 역할을 하는 포트(주황색) 에 꽂아 줘야 한다. 원래 허브에서 허브로 연결할때는 크로스케이블로 해야하는데, 제품별로 특성이 있으니 제조사 가이드대로 해야 한다. (참조 : http://iptime.com/iptime/?page_id=67&uid=21605&mod=document ) 들어가서 보면, 별 내용은 없는데 상당히 복잡하다. 베타테스트한 블로거 글도 링크되어 있는데 처음보는 분들은 헷갈릴것이다. 복잡하게 생각할건 없다. 해보면 별거아니다. 근데, 조금 헤맬수 있다.

메인 AP를 A1004NS 에서 A3004NS-M 로 교체

A3004NS-MU 외관...열이 좀 난다는 품평이 있는데 검정색이 멋스럽다. 난 그럭저럭 열문제는 없이 잘쓰고 있다.

메인에서 Second으로 전락한 A1004NS Multi-User기능은 없지만 1000base-T지원한다. 보는것처럼 검은색 UTP 가 A3004NS-M에서 오는 라인인데, LAN Port(주황색)에 연결했다. 파란색UTP는 스마트TV 47LA6900과 유선연결

A1004NS 와 A3004NS-M 는 서로 유선으로 연결했다.

그리고 A3004NS-M 전원연결하고 관리자 페이지 들어간다.

연결하고 Main 공유기 A3004NS-M 관리자 로그인을 해야하겠지?

Easy Mesh 설정화면에 들어가서 Controller 모드 켜고 2.4Ghz 5Ghz 통합사용한다라고 설정.

위와 같이 설정하고, Easy Mesh 관리툴을 실행한다.

Easy Mesh 관리툴에서 찾기를 하면 연결가능한 AP가 나타나고 연결버튼누르면 한참 돌다가 연결된다..이게 다다. 참 쉽다. 근데, 일련의 과정을 잘모르면 헤매는 요소가 많다. 난 무선연결이 되는 줄 알고 한참 삽질을 했었다.

벤치비 네트워크 개선전 주말 낮 1시 근처..사용이 많을때..36Mbps

확실히 개선이 많이 되는 것 같다. 벤치비 결과 보려고 무진장 땀을 흘렸다... 말로 글로 표현하기 힘들지만, 결과물을 만들때까지는 노력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개선후, 00시도 나름 사용량이 많은 시간인데, 100Mbps 가까운 속도

서두에도 얘기했듯이, 넷플릭스를 보지는 않지만... 넥플릭스 고객센터 글을 보면

https://help.netflix.com/ko/node/306

인터넷 연결 속도 권장 사항

다음은 Netflix를 통해 영화와 TV 프로그램을 재생할 때 스트리밍당 권장되는 인터넷 다운로드 속도입니다.

초당 0.5메가비트 - 필수 대역폭 연결 속도

초당 1.5메가비트 - 권장 대역폭 연결 속도

초당 3.0메가비트 - SD 권장 화질

초당 5.0메가비트 - HD 권장 화질

초당 25메가비트 - UHD 권장 화질

Netflix HD 시청

25Mbps 이상이 되어야 UHD권장 화질을 볼수 있다. 그전엔 SK의 한계인가 했었다.. 국내 온라인포럼에 여러글을 토대로 볼때 스크로는 넷플릭스 안된다고..

fast.com 개선전 25 Mbps 이상이 나와야 넷플릭스를 UHD로 관람가능

개선후 어떤 시간대에도 이정도 나온다. 85Mbps 넷플릭스 고화질 가능하다.

시간이 지나면 잊어버릴듯 하여, LOG를 남긴다..

<간략후기>

2.4Ghz 5Ghz 통합해 보니 참 좋다.

5Ghz는 속도는 빠르지만, 장애물에 의해 차단이 잘되고, A604G-MU 의 경우는 5Ghz만 MU 기능 된다네..

네트웍 잘모르는 사람들은 그냥 편하게 2.4Ghz만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때 그때 알아서 골고루 쓸수 있어서 좋은 것 같다.

꼭 큰평수의 아파트가 아니어도, 유/무선 사용자가 많은 경우 네트워크 개선을 통해 품질 개선이 분명이 가능하다.

그리고 SK Broadband 가입자도 넷플릭스 볼수 있다.

끝.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