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웃도어

[태풍이야기]2022년 11호 태풍 힌남노 초강력 중형 태풍 with 후지와라 효과

by 현혜사랑 2022. 8. 31.
728x90

[태풍이야기]2022년 11호 태풍 힌남노 초강력태풍

 
수정이력 2022-09-27 뒤늦게 후지와라 효과에 의해 세력이 확장된 내용 추가
 
허리케인 5등급에 해당하는 강한 태풍 11호 힌남노(Hinnamnor, 라오스에서 제출한 이름)

태풍의 경우 초속 44m/s 이상이면 매우강한태풍,

2020년 부터 초속 54m/s이상 초강력태풍 등급 추가

cf.허리케인 등급 59~69m/s 4등급, 70m/s~ 5등급

그이상의 분류가 크게 의미가 없다는 얘기다. 그 이상의 강한 태풍이 잘 없기도 하고...
우리나라에 접근할때는 2등급으로 내려온다고 예측하고 있지만, 매우 강한 태풍이니 모두 대비 잘하길
태풍의 크기는 강풍반경(초속15m/s이상이 미치는 반경) 430km로 예측되 초강력 중형태풍이다.
 

태풍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알아보기 ☞ 바로가기 클릭([태풍이야기]열대저압부(TD), 온대저기압,열대폭풍(TS),태풍,허리케인,사이클론,윌리윌리)

 

 
매미(최대풍속 초속 51m/s)보다 강한 사상초유의 강한 힌남노(최대풍속 초속 72m/s)가 5등급에서 인제는 2등급(43~49m/s) 매우강한 태풍 (44m/s 이상)으로 약해졌다.

8/31일 오전 05:07 Windy 허리케인추적기

09/02 오전 11:27 Windy 허리케인추적기

 

8/30 16:00발표 기상청 날씨누리 태풍상세정보

 

09/02 10:00 발표 기상청 날씨누리 태풍상세정보

 

북위30도를 넘을때도 세력을 유지했던  태풍 힌남노가 후지와라 효과에 의해 다른 열대저압부를 흡수하는 등 특이한 현상이 드러났다. (출처 : YTN 자막뉴스)

1. 태풍 '힌남노'는 처음부터 세력이 강한 태풍은 아니었습니다.

태풍 '힌남노'는 처음부터 세력이 강한 태풍은 아니었습니다.

2. 그런데 타이완 부근에서 작은 태풍을 만난 '힌남노'

그런데 타이완 부근에서 작은 태풍을 만난 '힌남노'

3. 갑자기 몸집을 불리더니 태풍을 흡수해 버립니다. (후지와라 효과)

갑자기 몸집을 불리더니 태풍을 흡수해 버립니다.

4. 이후 세력이 강해진 태풍은 정체 상태를 벗어나 한반도를 향해 북상했습니다.

이후 세력이 강해진 태풍은 정체 상태를 벗어나 한반도를 향해 북상했습니다.

5. 태풍이 약한 상태에서 서진한 것을 1기라 한다면, 태풍을 잡아먹고 북진을 시작한 것을 2기라 부를 수 있습니다. 

태풍이 약한 상태에서 서진한 것을 1기라 한다면, 태풍을 잡아먹고 북진을 시작한 것을 2기라 부를 수 있습니다.

6. 아무리 강한 태풍이라도 북위 30도를 넘으면 세력이 급격히 약해지고 동쪽으로 방향을 크게 틉니다.

아무리 강한 태풍이라도 북위 30도를 넘으면 세력이 급격히 약해지고 동쪽으로 방향을 크게 틉니다.

7. 하지만 '힌남노'는 이 법칙을 따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힌남노'는 이 법칙을 따르지 않았습니다.

8. 북위 30도 선을 넘으며 태풍의 눈이 더 뚜렷해지며 재발달한 겁니다.

북위 30도 선을 넘으며 태풍의 눈이 더 뚜렷해지며 재발달한 겁니다.

 

YTN 자막뉴스 '힌남노' 다른 태풍 만나자 갑자기...법칙 깨고 돌변'

후지와라 효과(Fujiwhara effect) : 두 개의 태풍이 인접한 곳에 있을 경우 서로의 이동 경로나 세력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 두 개의 열대성 저기압이 1,000~1,200km 정도의 거리를 두고 만날 경우 발생. 태풍 두 개가 발생하는 경우는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며 이때 두 개의 태풍은 서로 밀거나 잡아당기는 힘을 발휘합니다. 1921년 처음으로 이 현상을 설명한 일본의 기상학자 후지와라 사쿠헤이(1884~1950)의 이름을 붙임.

​후지와라 효과의  6가지 유형

  • 첫 번째, 약한 열대저기압이 근처에 있는 강한 열대저기압에 세력을 빼앗겨서 급속도 약화
  • 두 번째, 둘 중 한쪽의 열대저기압만 간섭을 받고 다른 한쪽의 열대저기압의 주위를 따라감.
  • 세 번째, 둘 중 한쪽의 열대저기압이 먼저 이동하고 다른 한쪽이 그 뒤를 쫓아가는 유형.
  • 네 번째, 두 개의 열대저기압이 함께 이동하는 유형.
  • 다섯째, 동쪽에 있는 열대저기압이 먼저 북상하고 나서 사라지면 그다음에 서쪽에 있는 다른 열대저기압이 북상하는 유형.
  • 마지막으로 동쪽에 있는 열대저기압이 속도를 올려서 북동쪽으로 이동하면 서쪽에 있는 열대저기압은 속도가 느려지면서 서쪽으로 이동하는 유형 
728x90
반응형

댓글